한국 건강기능식품 인증해외 영양제의 기준은 어떻게 다를까요? 요즘 해외직구 건강기능식품을 많이 찾는 분들이 늘고 있지만, 인증 체계나 안전성 기준에 대한 이해 없이 섭취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 글에서는 한국과 미국, 유럽 등 주요 국가의 건강기능식품 제도를 비교하고, 구매 시 유의할 점을 정리해드립니다.


1. 건강기능식품이란?

건강기능식품
사진: UnsplashSupliful - Supplements On Demand

건강기능식품은 일반 식품과 달리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성분을 함유한 제품으로, 법적 기준과 절차를 거쳐야만 ‘건강기능식품’이라는 명칭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한국의 건강기능식품 인증 제도

한국에서는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가 건강기능식품을 철저히 관리합니다.

  • 건강기능식품’이라는 명칭 사용은 식약처 인정 또는 고시형 원료만 가능
  • 기능성, 안전성, 품질 평가를 거쳐 인증
  • 제품 포장에 ‘건강기능식품 마크’ 부착 필수

예: ‘이 제품은 질병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의약품이 아닙니다’라는 문구 의무 표기


3. 해외 건강기능식품(영양제) 제도는?

미국과 유럽 등 주요 국가에서는 건강기능식품을 어떻게 관리할까요?

미국 (FDA)

  • FDA(식품의약국)가 전체 식품 범주로서 건강보조식품(Dietary Supplement)을 관리
  • 별도의 ‘인증’ 절차는 없고, 제조사가 안전성과 기능성을 자체 책임으로 보장
  • 질병 치료 주장 불가, ‘FDA 평가받지 않음’ 문구 자주 표기됨

유럽 (EFSA)

  • EFSA(유럽식품안전청)가 건강기능식품의 성분과 표시를 관리
  • 허용된 영양·건강 클레임 목록을 통해 제한적으로 기능성 광고 가능
  • 회원국마다 규제가 상이하여 제품 성분, 함량이 달라질 수 있음


4. 한국 vs 해외 건강기능식품 비교

구분 한국 미국 유럽
인증 기관 식약처 FDA (관리만) EFSA
제품 인증 필수 (기능성 인정) 없음 (자율 책임) 부분 인증 (성분 중심)
광고 허용 범위 기능성에 한정 효능 표현 가능하나 제한 허용된 표현만 사용 가능
소비자 보호 상대적으로 강함 제조사 책임 강조 국가마다 다름


5. 해외직구 건강기능식품, 괜찮을까?

해외직구로 건강기능식품을 구입할 때는 아래 사항을 꼭 확인하세요.

  • 성분 함량: 한국 기준보다 높은 경우도 많아 부작용 우려
  • 표시사항 확인: 질병 치료를 암시하는 표현은 주의
  • 반입 금지 성분: 멜라토닌, DHEA 등 일부 성분은 국내 반입 제한
  • 통관 기준: 1회 6병 이하, 자가소비 목적일 경우만 가능


6. 건강기능식품 선택 시 팁

해외 제품도 좋지만, 안전성과 검증이 중요한 건강기능식품은 다음 기준으로 선택해보세요.

  • 식약처 인증 마크 확인
  • 원료 출처와 함량 꼼꼼히 비교
  • 부작용 및 금기사항 확인
  • 해외제품은 후기·성분 검토 후 신중 구매


7. 결론: 인증 기준을 알고, 안전하게 섭취하자

한국과 해외의 건강기능식품 기준 차이는 꽤 큽니다. 한국은 엄격한 인증을 거친 제품만이 건강기능식품으로 인정받는 반면, 해외는 자율성과 기업 책임 중심의 구조입니다. 특히 해외직구 건강기능식품은 편리하지만, 성분이나 법적 기준 차이로 인한 부작용 가능성도 있으니 충분히 정보를 확인한 뒤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내 몸에 들어가는 건강기능식품, 인증과 기준을 꼼꼼히 확인하세요!